유머/이슈

남아도는 쌀, 쌀 공급 과잉 문제

작성자 정보

  • 오지고 작성
  • 작성일

컨텐츠 정보

  • 333 조회
  • 0 추천
  • 0 비추천
  • 목록

본문

17150427116545.jpeg
17150427117137.jpeg
 

줄어드는 벼 재배면적과 쌀 생산량에도 불구하고

 

17150427117697.jpeg
 

2022년 쌀 자급률은 104%를 기록했다. (식량자급률은 약 50%)

 

쌀 소비량보다 많이 생산하고 있다는 것이다. 

 

여기에 우루과이 라운드로 인해 매년 40만 8,700톤을 의무수입 해야되는데 이는 국내 쌀 생산량의 11%에 해당된다.

 

쌀이 과잉 공급되는 이유는 무엇일까?

 

 

1. 줄어드는 쌀 소비량

 

17150427117934.jpeg
 

2023년 1인당 쌀 소비량은 56.4kg으로 사상 최소치다.

 

30년 전 보다 절반이 줄었으며 하루에 즉석밥 한 개 분량도 안되는 양이다. (154.6g)

 

 

2. 낮은 벼농사 이탈율

 

1715042711813.jpeg
 

농가 인구 중 65세 이상 고령인구가 50%를 차지하고 70세 이상이 가장 많은 35%를 차지한다.

 

수 십년간 재배한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재배하기 쉽지 않은 나이다.

 

17150427118372.jpeg
 

또 노동력이 적게 든다는 점도 한 몫 한다. 벼농사의 기계화율은 99%이다. (밭농사 평균 기계화율은 63%)

 

고령인구가 대부분인 농촌에선 노동력이 적게 드는 벼농사를 선호할 수 밖에 없다.

 

 

3. 쌀 수매 

 

17150427118714.jpeg
 

우리나라는 쌀 가격 안정화를 위해 정부가 쌀을 사들일 수 있다.(의무는 아님) 쌀 가격이 떨어지면 매수하고 오르면 매도한다. 

 

17150427119303.jpeg
 

쌀가격이 떨어져도 정부가 사준다는 기대감이 있어 과잉 생산되어도 계속 벼를 재배하는 것이다.

 

 

 

 

쌀 과잉 공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식품부는 쌀 가공식품 소비를 촉진하고 전략작물직불제 등을 활용해 벼 재배면적을 감축한다고 한다.

 

대학생 천원의 아침밥 사업 또한 쌀 소비 촉진을 위한 정책 중 하나이다.

출처: 오지고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전체 13,896 / 524 페이지
번호
제목